[!] ★★★★☆ 오픈바인드 운영법


 오픈바인드는 2007년 3월 부터 기획에 들어갔습니다. 다양한 오픈소스, 특히 WiKipedia와 MITocw를 벤치마킹을 통해 오픈바인드가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모델링하였고, 2007년 9월 부터 자료를 수집 및 편집을 통해 정보를 정제하여 08' 3월 부터 본격적으로 업로드를 하였습니다. 오픈바인드는 현재는 140여개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를 가지고 Opensource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키나 OCW처럼 정보 갱신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여러분들의 다양한 참여 (댓글, 이메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이 사이트를 좀더 이용하시려면 아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으십시오. 오픈바인드는 다음의 운영방침을 가집니다!

1. 지식자유프로젝트 오픈바인드는 구글광고를 스폰서를 받아 도메인갱신 및 최신정보 갱신에 힘쓰고 있습니다. ;)
 오픈바인드는 사실 wikipedia의 정신처럼 어떠한 스폰을 받지 않고 무료로 제공하였으며 1여년동안 그 정책이 유지되었습니다. 하지만 도메인갱신비용에 따른 재정부담으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구글애드센스로부터 Sponsor를 받고 있습니다. 구글애드센스로부터 생기는 수입은 대부분 도메인 갱신 비용으로 지출됨을 알려드립니다!

2. 오픈바인드의 발전을 위한 Discussion, 토론을 매우 환영합니다.
 사실 본 운영자는 웹호스팅을 통해 wiki 양식으로 오픈바인드를 운영하려고 했습니다만, 개인적인 재정부담과 기술력의 부족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라는 플랫폼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블로그라는 폐쇄성으로 인하여 여러분의 참여가 다소 어렵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오픈바인드 정책으로는 댓글 또는 트랙백을 통한 정보 갱신을 매우 환영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게 어렵다면 운영진 thisLMM@gmail.com 에게 메일을 보내주십시오. 문서에 대한 토론은 언제든지 환영하며, 6시간안으로 답변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3. 오픈바인드에서 제공되어지는 모든 문서와 자료(일부 제외)는 100% 무료 라이센스를 가집니다.
 수정 및 배포 또한 자유로우며 출처까지도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레포트월드나 해피캠퍼스, 캠퍼스몬 등과 같은 온라인 유료판매 사이트 곳은 절대로 배포해서는 안됩니다. 이에 대한 정책을 알아보시려면 http://www.openbind.com/notice/47 의 문서를 읽어주십시오. 유료사이트판매 사이트 외 무슨 사이트이든 오픈바인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한 오픈바인드는 절대로 폐쇄되지 않습니다.
 어떠한 외압에도 굴하지않고 오픈바인드를 운영할 것입니다. 상대가 대통령이든 교수님이든 오픈바인드는 철저하게 그 원칙을 지킬 것을 약속드립니다. 지진이 -천재지변- 난다거나 전쟁이 터진다거나 등의 불가항적인 외부 영향이 끼쳐서 오픈바인드가 운영되지 못하게되는 상황 외, 이용자께서 언제 어디서든지 정상적으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 다하겠습니다. 차후에 재정적인 독립을 하게 되면 다음 티스토리부터 독립할 예정입니다.

Q. 광고를 안 볼 수는 없나요?
A. 오픈바인드는 사실 초기에는 어떠한 광고없이 운영되어 왔습니다. ;) 하지만 2009년부터는 구글 애드센스로부터 스폰서를 받아 광고를 본격적으로 적용하였습니다. 도메인 갱신비용 및 컨텐츠 제공 비용에 대한 재정적인 부담이 그 이유입니다! 사용자께서 생각하시는 광고수입은 1년에 100달러 정도 입니다. 때문에 더욱더 광고에 의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이점 양해바랍니다. 수입 대부분은 도메인 갱신 및 컨텐츠 제작 비용으로 사용되며 수익내역을 100%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약속합니다.

2010.06.16 Revision ver1.20